본문 바로가기
1. 성인과 교부

성 다마소 1세 교황: 불가타 성경과 순교자 신심을 확립한 교회 박사

by 기쁜소식 알리기 2025. 11. 1.
반응형

논쟁적 선출과 초기의 시련을 극복한 지도자

성 다마소 1세는 서기 366년 10월 1일 로마의 제37대 주교로 선출되었으며, 384년 12월 11일 선종할 때까지 약 18년간 재임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선출 과정은 교회사에서 가장 논쟁적인 사건 중 하나였습니다. 전임 교황 리베리오가 선종하자 로마 교회는 두 파벌로 나뉘었습니다. 한쪽은 부제였던 다마소를 지지했고, 다른 쪽은 우르시치노라는 또 다른 부제를 지지했습니다. 양측의 대립은 격렬했고 심지어 유혈 충돌까지 발생했습니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우르시치노 지지자들이 점거한 성당에서 충돌이 일어나 137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합니다. 결국 다마소가 다수의 지지를 받아 정당하게 선출되었지만, 우르시치노와 그 지지자들은 계속해서 다마소의 정통성에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다마소는 황제의 지원과 로마 시노드의 확인을 통해 자신의 정통성을 확립했습니다. 이 경험은 다마소에게 교회 일치와 질서의 중요성을 깊이 깨닫게 했으며, 교황 수위권을 강화하는 동기가 되었습니다. 그는 재임 초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가톨릭 교회 역사상 가장 중요한 개혁 교황 중 한 분이 되었습니다.

성 다마소 1세 교황: 불가타 성경과 순교자 신심을 확립한 교회 박사

성 예로니모와 함께한 불가타 성경 번역 사업

다마소 1세 교황의 가장 위대한 업적은 라틴어 성경 번역을 주도한 것입니다. 4세기 당시 교회에서는 여러 종류의 라틴어 성경 번역본이 사용되고 있었는데, 번역의 질이 고르지 못하고 오류도 많았습니다. 다마소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대 최고의 성경 학자였던 성 예로니모에게 성경을 새롭게 번역할 것을 의뢰했습니다. 예로니모는 다마소의 비서로 일하면서 382년경부터 이 방대한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다마소는 예로니모에게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문을 기초로 정확하고 우아한 라틴어 번역을 만들도록 지시했습니다. 예로니모는 먼저 복음서를 번역했고, 이어서 시편과 구약성경으로 작업을 확대했습니다. 이 번역 작업은 다마소 사후에도 계속되어 405년경 완성되었으며, 후에 불가타 성경으로 알려지게 됩니다. 불가타는 천 년 이상 서방 교회의 표준 성경이 되었으며,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교회의 공식 성경으로 인정받았습니다. 다마소의 이러한 선견지명 덕분에 가톨릭 교회는 신학적 논쟁과 교리 정립에 있어 정확한 성경 본문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번역 사업이 아니라 교회의 신학적 기초를 확립한 역사적 업적입니다.

순교자 공경과 카타콤베 성화 사업

다마소 교황은 순교자들에 대한 깊은 공경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교회 전체로 확산시키는 데 헌신했습니다. 그는 로마의 카타콤베를 체계적으로 정비하고 아름답게 꾸몄습니다. 특히 순교자들의 무덤을 찾아내어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고 기념비를 세웠습니다. 다마소는 직접 순교자들을 기리는 라틴어 비문을 작성했는데, 이 비문들은 아름다운 운문 형식으로 되어 있어 문학적 가치도 높습니다. 칼리그라퍼 필로칼루스가 이 비문들을 우아한 서체로 새겼으며, 이 서체는 다마소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다마소는 60개 이상의 순교자 묘지에 비문을 설치했으며, 이 비문들은 순교자들의 영웅적 신앙을 후세에 전하는 귀중한 자료가 되었습니다. 그는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의 무덤을 특별히 공경했으며, 두 사도의 유해가 안치된 장소를 장엄하게 꾸몄습니다. 또한 성 아그네스, 성 라우렌시오, 성 세바스티아노 등 로마의 주요 순교자들의 무덤도 정비했습니다. 다마소의 이러한 노력 덕분에 카타콤베는 단순한 묘지가 아니라 순례의 성지가 되었습니다. 순교자 공경은 신자들의 신앙을 강화하고 박해의 기억을 보존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다마소 자신도 사후 자신의 어머니와 누이가 묻힌 카타콤베에 안장되기를 원했으며, 자신의 무덤에도 비문을 남겼습니다.

아리우스 이단 대응과 니케아 신앙 수호

다마소 1세의 재임 기간은 아리우스 이단 논쟁이 여전히 교회를 뒤흔들던 시기였습니다. 아리우스주의는 예수 그리스도가 성부 하느님과 동등한 신성을 지니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이단이었습니다.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단죄되었지만, 정치적 지원을 받으며 계속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습니다. 다마소는 확고하게 니케아 신경의 정통 신앙을 수호했습니다. 그는 여러 차례 시노드를 소집하여 아리우스주의와 그 변형들을 단죄했습니다. 특히 379년 로마 시노드에서는 그리스도의 완전한 신성과 성령의 신성을 명확히 선언했습니다. 이는 381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의 교리적 기초가 되었습니다. 다마소는 동방 교회와도 긴밀히 협력했습니다. 그는 안티오키아의 분열 문제 해결에 개입했고, 동방의 정통 주교들을 지원했습니다. 특히 성 바실리오, 성 그레고리오 나지안조, 성 그레고리오 닛사 등 카파도키아 교부들과 서신을 교환하며 교리적 일치를 추구했습니다. 다마소는 또한 아폴리나리스주의라는 새로운 이단도 대응해야 했습니다. 아폴리나리스는 그리스도께서 인간의 영혼을 가지지 않으셨다고 주장했는데, 다마소는 이를 단죄하고 그리스도의 완전한 인성을 옹호했습니다. 이러한 교리적 투쟁을 통해 다마소는 삼위일체 교리와 그리스도론의 정통 신앙을 확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교황 수위권 확립과 교회 행정 개혁

다마소 1세는 교황 수위권을 신학적으로나 실천적으로 크게 강화한 교황입니다. 그는 교황의 권위가 베드로 사도로부터 직접 계승된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다마소는 교황을 단순히 로마의 주교가 아니라 사도좌라고 불렀으며, 이는 교황이 베드로의 직접적인 후계자임을 강조하는 것이었습니다. 382년 로마 시노드에서 그는 교황 수위권에 대한 중요한 교령을 발표했습니다. 이 교령은 로마 교회가 공의회의 결정 때문이 아니라 주님께서 베드로에게 주신 약속 때문에 수위권을 갖는다고 선언했습니다. 이는 교황 권위의 신적 기원을 명확히 한 것입니다. 다마소는 또한 교회법 정립에도 기여했습니다. 그는 주교들 간의 분쟁을 교황이 최종적으로 판단한다는 원칙을 확립했으며, 여러 지역에서 발생한 교회법적 문제들에 대해 판결을 내렸습니다. 이러한 판결들은 후대 교회법의 중요한 선례가 되었습니다. 다마소는 로마 교회의 행정 체계도 개선했습니다. 그는 성직자들의 교육 수준을 높이고 전례를 표준화하는 데 노력했습니다. 또한 교회 문서 보관 체계를 정비하여 교황청 문서고의 기초를 마련했습니다. 다마소는 그리스어를 할 줄 알았지만 서방 교회에서는 라틴어를 공식 언어로 확립했으며, 로마 전례에서 라틴어 사용을 장려했습니다. 이는 서방 교회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사회적 약자 보호와 교회의 독립성 확보

다마소 교황은 사회적 약자들을 보호하는 데에도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그는 과부들과 고아들을 위한 자선 사업을 확대했으며, 가난한 이들에게 식량과 의복을 제공했습니다. 특히 여성 수도생활의 발전을 장려했는데, 많은 로마 귀족 여성들이 그의 지도 아래 봉헌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다마소는 성 마르첼리노와 성 베드로에게 봉헌된 성당을 건립했으며, 이곳에 자신의 어머니와 누이를 위한 묘지를 마련했습니다. 그는 또한 교회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4세기는 황제들이 교회 문제에 깊이 개입하던 시대였는데, 다마소는 신앙 문제에서 교회의 자율성을 주장했습니다. 그는 황제 그라티아누스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교회의 영적 권위가 세속 권력보다 우위에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다마소는 반대자들로부터 여러 차례 부당한 고발을 받았지만, 교황은 세속 법정에서 재판받지 않는다는 원칙을 확립했습니다. 이는 교회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법적 원칙이 되었습니다. 또한 그는 이교 신전들을 교회가 관리하도록 하는 조치를 취했으며,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지배적 종교로 자리잡는 데 기여했습니다. 다마소의 이러한 노력은 교회가 단순히 국가의 종교 기구가 아니라 독립적인 영적 권위임을 확인시켜주었습니다.

학문과 예술을 장려한 문화적 후원자

다마소 1세는 학문과 예술을 사랑한 교양인이었습니다. 그는 스페인 출신으로 훌륭한 교육을 받았으며, 라틴어와 그리스어에 능통했습니다. 다마소는 성경 연구를 장려했을 뿐만 아니라 고전 문학에도 조예가 깊었습니다. 그가 작성한 순교자 비문들은 고전 라틴 시의 운율을 따르고 있어 문학적으로도 높이 평가됩니다. 다마소는 교회 건축에도 관심이 많았습니다. 그는 여러 성당을 건립하거나 개보수했으며, 특히 순교자들의 무덤 위에 세워진 성당들을 아름답게 꾸몄습니다. 그는 교회 예술이 신자들의 신앙을 고양시키는 중요한 도구임을 인식했습니다. 다마소 시대에 모자이크와 프레스코 기법이 발전했으며, 초기 기독교 예술의 황금기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는 또한 전례 음악의 발전에도 기여했습니다. 로마 전례에서 시편 노래가 체계화되었고, 응답송 형식이 발전했습니다. 다마소는 예루살렘의 전례 관습을 로마에 도입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지식인들과 예술가들을 후원했으며, 로마 교회를 문화와 학문의 중심지로 만들었습니다. 성 예로니모, 성 암브로시오 같은 교회 박사들이 다마소 시대에 활동했으며, 이들은 교회 사상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다마소의 문화적 비전은 기독교 문명이 고전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현대 교회에 전하는 지적 유산과 목양적 지혜

성 다마소 1세 교황의 삶은 21세기 교회에도 여러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그가 성경 번역을 주도한 것은 하느님 말씀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가톨릭 교회는 성경 읽기를 더욱 강조하고 있으며, 다마소의 정신은 이러한 성경 중심의 영성과 맥을 같이합니다. 오늘날에도 정확한 성경 번역과 보급은 교회의 중요한 사명입니다. 다마소가 보여준 순교자 공경은 신앙의 증인들을 기억하는 전통의 중요성을 일깨워줍니다. 현대 교회도 순교자들과 성인들의 삶에서 영감을 얻고 그들의 신앙을 본받아야 합니다. 특히 오늘날에도 세계 곳곳에서 신앙 때문에 박해받는 형제자매들이 있으며, 이들을 기억하고 지원하는 것은 교회의 의무입니다. 다마소가 교리를 수호하며 이단과 싸운 것은 진리를 지키는 교회의 사명을 보여줍니다. 상대주의가 만연한 현대 사회에서도 교회는 복음의 진리를 명확히 선포해야 합니다. 동시에 다마소가 동방 교회와 협력한 것은 일치를 추구하는 에큐메니즘의 정신과 통합니다. 그가 학문과 예술을 장려한 것은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보여줍니다. 가톨릭 교회는 항상 진리를 탐구하고 문화를 발전시키는 일에 헌신해왔으며, 이는 오늘날에도 계속되어야 할 전통입니다. 마지막으로 다마소가 초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위대한 교황이 된 것은 하느님의 섭리와 인간의 노력이 함께 작용함을 보여줍니다.

역사적 사건 연표

연도 역사적 사건
서기 305년경 다마소 스페인 또는 로마에서 출생
서기 325년 니케아 공의회 개최, 아리우스 이단 단죄
서기 366년 9월 교황 리베리오 선종
서기 366년 10월 1일 다마소 1세 제37대 교황 선출, 우르시치노와 대립
서기 367년 우르시치노 추방, 다마소의 정통성 확립
서기 370년대 카타콤베 정비와 순교자 비문 제작 시작
서기 379년 로마 시노드, 그리스도와 성령의 신성 선언
서기 381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니케아 신경 재확인
서기 382년 성 예로니모에게 성경 번역 의뢰, 교황 수위권 교령 발표
서기 382-384년 예로니모의 복음서와 시편 라틴어 번역 완성
서기 384년 12월 11일 성 다마소 1세 선종, 교황 시리치오 후임
서기 405년경 불가타 성경 번역 완성

참고문헌 및 사이트

  • 성 예로니모, 서간집 (Epistulae) - 다마소 교황과의 서신 교환
  • 리베르 폰티피칼리스 (Liber Pontificalis) - 교황 다마소 1세 전기
  • 다마소 순교자 비문집 (Epigrammata Damasiana) - 교황이 직접 작성한 비문
  •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로마 제국사 - 다마소 선출 논쟁 기록
  •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성경 자료실과 성인 자료실 (cbck.or.kr)
  • 바티칸 공식 웹사이트 교황 역사 섹션 (vatican.va)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계시 헌장 (Dei Verbum, 1965)
  • 가톨릭 백과사전, Damasus I 항목 (New Catholic Encyclopedia)
  • 베네딕토 16세, 회칙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Deus Caritas Est, 2005)
  •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회칙 교회의 일치 (Ut Unum Sint, 1995)
  • 로마 카타콤베 위원회 공식 자료 (catacombeditalia.v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