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성인과 교부

성 헬레나 - 십자가를 발견한 로마 황제의 어머니

by 기쁜소식 알리기 2025. 11. 14.
반응형

평범한 여인숙 주인의 딸에서 황태후까지

성 헬레나는 서기 250년경 소아시아의 비티니아 지역 또는 영국의 콜체스터에서 태어난 것으로 전해집니다. 그녀의 출신에 대해서는 역사가들 사이에 논쟁이 있지만, 대부분의 자료는 그녀가 여인숙 주인의 딸로 태어나 매우 평범한 가정 환경에서 자랐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젊은 시절 헬레나는 로마 군인이었던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를 만나 결혼했고, 272년경 아들 콘스탄티누스를 낳았습니다. 그러나 콘스탄티우스가 정치적 야망을 위해 로마 황제의 의붓딸과 재혼하면서, 헬레나는 남편에게 버림받는 아픔을 겪었습니다. 이러한 시련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아들을 훌륭하게 키웠으며, 306년 아들이 로마 황제가 되면서 황태후의 지위에 올랐습니다.




그리스도교로의 개종과 신앙의 열정

헬레나가 정확히 언제 그리스도교로 개종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312년 밀비우스 다리 전투 이후 아들 콘스탄티누스의 영향을 받아 개종했다고 추정합니다. 이미 60세가 넘은 나이였지만, 헬레나는 놀라운 열정으로 새로운 신앙을 받아들였습니다. 그녀는 단순히 명목상의 그리스도교인이 아니라, 진정으로 복음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신자가 되었습니다. 황태후의 지위를 이용하여 가난한 이들을 돕고, 수감자들을 방문하며, 교회 건립을 위해 재산을 아낌없이 사용했습니다. 당시 로마 사회에서 여성, 특히 노년의 여성이 이렇게 적극적으로 종교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습니다. 헬레나는 자신의 과거 고난이 하느님의 섭리였음을 깨닫고, 그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남은 생애를 봉헌했습니다.




역사적 성지 순례의 시작

326년 또는 327년, 헬레나는 76세 또는 77세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성지 순례를 떠났습니다. 이것은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기록된 최초의 조직적인 성지 순례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당시 예루살렘은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135년에 유대인 반란을 진압한 후 아엘리아 카피톨리나로 개명되었고, 그리스도교 성지들 위에는 이교 신전들이 세워져 있었습니다. 헬레나는 황실의 막대한 재정 지원을 받아 이러한 이교 신전들을 철거하고 본래의 성지를 찾는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그녀의 순례는 단순한 개인적 신심 행위가 아니라, 그리스도교 역사의 중요한 장소들을 복원하고 보존하려는 체계적인 노력이었습니다. 이 순례를 통해 헬레나는 베들레헴의 예수 탄생 장소, 감람산, 그리고 골고타 언덕 등을 확인하고 그곳에 성당을 건립하도록 지시했습니다.




거룩한 십자가의 발견

헬레나의 가장 유명한 업적은 그리스도께서 못 박히신 십자가를 발견한 것입니다. 전승에 따르면, 골고타 언덕 위에 세워진 비너스 신전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세 개의 십자가가 발견되었습니다. 예루살렘의 주교 마카리우스와 헬레나는 어느 것이 진정한 주님의 십자가인지 확인하기 위해 병든 여인에게 각각의 십자가를 대보았고, 그중 한 십자가에 닿았을 때 여인이 기적적으로 치유되었다고 합니다. 또 다른 전승은 죽은 사람이 진정한 십자가에 닿자 다시 살아났다고 전합니다.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발견의 역사적 세부 사항에 대해 논쟁하지만, 가톨릭 교회는 전통적으로 헬레나가 진정한 십자가를 발견했다고 믿으며 이를 기념합니다. 헬레나는 십자가의 일부를 로마로 가져갔고, 나머지는 예루살렘에 보관하도록 했습니다. 이 십자가 성유물은 이후 그리스도교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성유물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성당 건립과 성지 보존

헬레나는 성지 순례 기간 동안 여러 중요한 성당 건립을 주도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예루살렘의 성묘 대성당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무덤과 부활 장소 위에 세워진 이 성당은 335년에 봉헌되었습니다. 비록 헬레나가 봉헌식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지만, 이 성당의 건립은 그녀의 헌신적인 노력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베들레헴에는 예수 탄생 동굴 위에 탄생 성당을 건립했는데, 이 성당은 현재까지도 보존되어 순례자들이 방문하는 주요 성지입니다. 감람산에는 승천 기념 성당을, 베다니에는 나자로 부활 기념 성당을 세웠습니다. 헬레나의 이러한 노력은 단순히 건물을 짓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교 신앙의 역사적 뿌리를 확립하고 후대 신자들이 신앙의 원천을 체험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녀가 건립한 성당들은 이후 1700년 동안 수백만 명의 순례자들에게 영적 위안과 힘을 제공했습니다.




자선과 사회 정의를 위한 노력

헬레나는 성지 순례와 성당 건립 외에도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다양한 자선 활동을 펼쳤습니다. 역사가 에우세비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그녀는 가난한 이들에게 직접 옷과 돈을 나누어주었으며, 채무자들의 빚을 대신 갚아주고 감옥에 갇힌 이들을 석방시켰습니다. 특히 여성 수감자들과 광산에서 강제 노역을 하는 그리스도교인들의 처우 개선에 힘썼습니다. 당시 로마 제국의 황태후가 직접 감옥을 방문하고 가난한 이들과 함께 식사하는 것은 전례 없는 일이었습니다. 헬레나는 자신의 과거 평민 출신이라는 배경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오히려 그것을 바탕으로 소외된 이들의 고통을 이해하고 도왔습니다. 그녀의 이러한 행동은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이었으며, 그리스도교가 단순히 종교 의식이 아니라 삶의 방식이라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아들 콘스탄티누스와의 관계

헬레나와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관계는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독특한 의미를 지닙니다. 콘스탄티누스는 어머니를 깊이 존경했으며, 그녀에게 아우구스타(황후)라는 칭호를 부여하고 무제한적인 재정 권한을 주었습니다. 동시에 헬레나는 아들의 종교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그리스도교를 공인한 콘스탄티누스는, 어머니의 신앙심과 열정에 자극받아 교회 건립과 성직자 지원을 확대했습니다. 그러나 326년에 일어난 비극적 사건은 두 사람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습니다. 콘스탄티누스는 자신의 아들 크리스푸스와 두 번째 부인 파우스타를 처형했는데, 그 정확한 이유는 역사의 미스터리로 남아 있습니다. 일부 역사가들은 헬레나의 성지 순례가 이 비극에 대한 속죄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가톨릭 교회는 헬레나의 성덕과 순례를 순수한 신앙심의 표현으로 받아들입니다.




선종과 교회의 공경

성 헬레나는 330년경 80세의 나이로 니코메디아 또는 로마에서 선종했습니다. 그녀의 유해는 처음에 로마 근처의 도르 피그나타리로 옮겨졌으며, 그녀를 위해 만들어진 붉은 반암 석관은 현재 바티칸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습니다. 초대 교회 시대부터 헬레나는 성인으로 공경받았으며, 동방 교회에서는 콘스탄티누스 황제와 함께 성인으로 시성되어 동등한 사도라는 칭호를 받았습니다. 서방 교회에서는 헬레나만이 독립적으로 성인으로 공경받습니다. 가톨릭 교회는 8월 18일을 그녀의 축일로 기념하며, 동방 정교회는 5월 21일에 콘스탄티누스와 함께 기념합니다. 헬레나는 고고학자, 개종자, 어려운 결혼 생활을 겪는 이들, 이혼한 이들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고 있습니다. 특히 영국은 그녀를 수호성인 중 한 분으로 모시며, 콜체스터 출신이라는 전승을 자랑스럽게 여깁니다.




예술과 문화 속의 성 헬레나

성 헬레나는 그리스도교 예술에서 자주 표현되는 성인 중 한 분입니다. 중세부터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화가들이 그녀가 십자가를 발견하는 장면을 그렸습니다. 대표적으로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아레초의 산 프란체스코 성당에 십자가 발견을 주제로 한 연작 프레스코화를 남겼습니다. 예술 작품에서 헬레나는 대개 황후의 화려한 의복을 입고 십자가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때로는 왕관과 함께 못이 그려지기도 합니다. 비잔틴 미술에서는 아들 콘스탄티누스와 함께 십자가를 받쳐 든 모습으로 표현됩니다. 헬레나를 기념하는 성당과 수도원은 유럽 전역에 세워졌으며, 특히 트리어, 베네치아, 로마 등지에는 그녀의 이름을 딴 주요 성당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예술적 표현들은 단순히 역사적 인물을 기념하는 것을 넘어, 신앙을 위한 헌신과 끈질긴 탐구의 정신을 후대에 전하는 역할을 합니다.




현대 교회에서의 의미와 유산

성 헬레나의 삶은 현대 그리스도교인들에게도 여전히 많은 교훈을 줍니다. 그녀는 늦은 나이에 개종했음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열정으로 신앙을 실천했으며, 이는 나이와 상관없이 신앙의 길을 걸을 수 있다는 희망을 줍니다. 버림받은 아내라는 고통스러운 과거를 극복하고 황태후가 된 그녀의 삶은, 하느님께서 고난을 통해 더 큰 계획을 이루신다는 섭리를 보여줍니다. 또한 헬레나는 권력과 부를 자신의 영광을 위해 사용하지 않고, 가난한 이들을 돕고 교회를 세우는 데 사용했습니다. 이는 그리스도교 사회 윤리의 모범이 됩니다. 성지 순례의 전통을 확립한 그녀의 업적은 오늘날까지 수백만 명의 순례자들이 성지를 방문하여 신앙을 새롭게 하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가톨릭 교회는 평신도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데, 헬레나는 평신도 여성으로서 교회 역사에 지대한 공헌을 한 대표적 인물입니다. 특히 여성의 신학적, 역사적 역할이 재평가되는 현대에, 헬레나의 삶은 여성이 교회와 사회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입니다.




성 헬레나 시대의 주요 역사적 사건

연도 역사적 사건 의미
250년경 성 헬레나 출생 비티니아 또는 영국에서 평민 가정에 태어남
272년경 콘스탄티누스 출생 헬레나가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와의 사이에서 아들을 낳음
293년 헬레나 이혼 콘스탄티우스가 정치적 이유로 헬레나를 버림
306년 콘스탄티누스 황제 즉위 헬레나가 황태후의 지위를 얻음
312년 밀비우스 다리 전투 콘스탄티누스가 십자가 환시를 보고 승리함
313년 밀라노 칙령 그리스도교 공인, 종교의 자유 보장
314년경 헬레나 개종 그리스도교로 개종하여 열정적인 신자가 됨
325년 니케아 공의회 최초의 세계 공의회, 삼위일체 교리 확립
326-327년 헬레나의 성지 순례 예루살렘에서 십자가 발견, 성당 건립 시작
330년경 성 헬레나 선종 약 80세의 나이로 선종, 성인으로 공경받기 시작
335년 성묘 대성당 봉헌 예루살�ם에 헬레나가 주도한 성당 완공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 Eusebius of Caesarea, 『Life of Constantine』(콘스탄티누스 전기)
  • Socrates Scholasticus, 『Church History』(교회사)
  • Butler's Lives of the Saints, New Full Edition
  • The Catholic Encyclopedia, New Advent 온라인 판
  • 가톨릭 성인 전기 편찬위원회, 『매일의 성인』, 성바오로출판사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성인 자료실
  • Vatican News 공식 웹사이트
  • Jan Willem Drijvers, 『Helena Augusta: The Mother of Constantine the Great and the Legend of Her Finding of the True Cross』
  •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구 공식 웹사이트
  • 성지 순례 안내서,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성지순례위원회

성 헬레나 - 십자가를 발견한 로마 황제의 어머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