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히브리어2

아우구스티누스와 제롬의 성경 번역 논쟁과 교회사적 의의 두 거대한 교부의 만남과 시대적 배경4세기 말과 5세기 초, 그리스도교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두 인물 성 아우구스티누스(354-430)와 성 히에로니무스(347-420)는 성경 번역과 해석을 둘러싸고 격렬한 학문적 논쟁을 벌였습니다. 히포의 주교였던 아우구스티누스는 서방 교회의 신학적 사유를 체계화한 위대한 신학자였으며, 달마티아 출신으로 베들레헴에서 활동한 제롬은 당대 최고의 성경 학자이자 번역자였습니다. 이들의 논쟁은 단순한 개인적 견해 차이를 넘어서, 초기 교회가 성경의 권위와 번역의 원칙에 대해 어떻게 사고했는지를 보여주는 귀중한 사례입니다.당시 서방 교회는 라틴어 번역 성경의 혼재라는 문제에 직면해 있었습니다. 구약의 경우 칠십인역에서 번역된 베투스 라티나(Vetus Latina) 계열의 여.. 2025. 9. 16.
히브리어, 아람어, 헬라어, 라틴어 – 초기 성경 언어의 네 가지 축 하느님의 말씀이 인간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네 가지 언어가 특별한 역할을 했습니다. 히브리어, 아람어, 헬라어, 라틴어 – 이 네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 도구를 넘어서 구원사의 핵심적 매개체였죠. 히브리어: 하느님의 선택받은 언어구약성경의 대부분을 기록한 히브리어는 '성스러운 언어'(Lashon HaKodesh)라고 불립니다. 기원전 10세기경부터 본격적으로 문자 기록이 시작된 이 언어는 아브라함부터 시작된 하느님의 계약이 구체적으로 표현된 최초의 언어예요. 창세기부터 말라키까지, 구약의 핵심 메시지들이 모두 이 언어로 기록되었죠.히브리어의 특징 중 하나는 그 간결하면서도 깊이 있는 표현력입니다. 예를 들어 창세기 1장 1절의 "베레시트 바라 엘로힘"(In the beginning God created).. 2025. 9.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