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성인과 교부

성 아드리안 순교자 - 박해자에서 순교자가 된 로마 군인

by 기쁜소식 알리기 2025. 11. 4.
반응형

디오클레티아누스 대박해의 시대적 배경

4세기 초 로마 제국은 그리스도교에 대한 가장 조직적이고 잔혹한 박해를 시행했습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제국의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303년부터 시작된 대박해를 명령했고, 이는 로마 제국 전역에서 수많은 순교자를 낳았습니다. 니코메디아는 당시 로마 제국 동부의 수도였으며, 비티니아 지방의 중심 도시로서 황제가 직접 거주하는 곳이었습니다. 이곳에서는 박해가 특히 혹독하게 진행되었고, 황제의 직접적인 감시 아래 그리스도교인들에 대한 체포와 고문이 일상적으로 벌어졌습니다. 황제는 그리스도교를 제국의 전통 종교와 황제 숭배를 위협하는 요소로 간주했으며, 신자들을 색출하여 배교를 강요하거나 처형했습니다. 이러한 극한 상황 속에서도 신앙을 지키려는 이들의 용기는 오히려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었고, 박해자들조차 그리스도교 신앙의 진리를 깨닫게 만들었습니다.

성 아드리안 순교자 - 박해자에서 순교자가 된 로마 군인

아드리안의 생애와 극적인 개종

성 아드리안은 니코메디아에서 황제의 근위대에 소속된 고위 군인이었으며, 황제 막시미아누스 갈레리우스를 섬기는 관리였습니다. 28세의 젊은 나이에 이미 법정의 책임자 직위에 올랐던 그는 이교도로서 그리스도교인들을 박해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습니다. 그의 아내 나탈리아는 비밀리에 그리스도교 신앙을 품고 있었지만, 남편에게 자신의 믿음을 밝히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304년 어느 날, 니코메디아 근처 동굴에 숨어 있던 23명의 그리스도교인들이 체포되어 법정으로 끌려왔습니다. 그들은 혹독한 고문을 받으면서도 신앙을 버리지 않았고, 우상 숭배를 거부했습니다. 아드리안은 법정에서 이들의 심문을 주재하면서 그들의 용기에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그는 순교자들에게 물었습니다. 이런 고통을 견디면서 너희가 하느님께 기대하는 보상은 무엇인가? 그들은 고린토전서 2장 9절을 인용하여 대답했습니다. 눈으로 보지 못하고 귀로 듣지 못하고 사람의 마음으로 생각하지 못한 것을 하느님께서는 당신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마련해 주셨습니다. 이 대답을 듣고 깊이 감동한 아드리안은 즉시 서기에게 명령했습니다. 나의 이름도 그들과 함께 기록하라. 나 역시 그리스도인이다. 이 선언은 법정에 있던 모든 이들을 놀라게 했고, 박해자가 순교자로 변모하는 극적인 순간이었습니다.

아내 나탈리아의 신앙과 헌신

아드리안이 그리스도교 신앙을 고백하자 즉시 체포되어 동료 순교자들과 함께 감옥에 갇혔습니다. 황제는 그에게 정신을 차리고 신들에게 제사를 드리라고 회유했지만, 아드리안은 대답했습니다. 나는 정신을 잃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정신을 찾았습니다. 나탈리아는 남편이 그리스도를 위해 고난받게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하며 감옥으로 달려갔습니다. 그녀는 비밀리에 지켜왔던 자신의 신앙을 드러내며 남편을 격려했습니다. 당신은 복되십니다. 그리스도를 믿게 되어 큰 보화를 얻으셨습니다. 세상의 어떤 것도 아쉬워하지 마십시오. 아름다움도 젊음도 부도 모두 티끌과 재에 불과합니다. 오직 신앙과 선행만이 하느님을 기쁘게 합니다. 동료 순교자들의 보증으로 아드리안은 잠시 석방되어 아내에게 처형 날짜를 알리러 집으로 갔습니다. 처음에 나탈리아는 남편이 신앙을 포기하고 석방된 줄 알고 집 문을 열어주지 않으려 했습니다. 그러나 아드리안이 순교를 피한 것이 아니라 처형 날짜를 알리러 왔다는 것을 알고는 그를 안으로 들였고, 함께 하느님께 기도를 드렸습니다. 나탈리아는 남편에게 한 가지 부탁을 했습니다. 하느님께 제가 이교도와 재혼하도록 강요받지 않게 해달라고 기도해 주십시오. 이 부부의 신앙과 사랑은 초대 교회 부부 순교자들의 아름다운 모범이 되었습니다.

순교와 영광스러운 증거

처형 날이 되자 아드리안과 동료 순교자들은 법정으로 끌려가 마지막 배교 기회를 받았지만 모두 거부했습니다. 황제는 무거운 철퇴로 그들의 팔과 다리를 부러뜨리는 잔인한 형벌을 명령했습니다. 나탈리아는 남편이 다른 순교자들의 고통을 보고 두려워할까 걱정하여, 집행관에게 남편부터 먼저 시작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녀는 직접 남편의 손과 발을 모루 위에 올려놓으며 그를 격려했습니다. 아드리안은 극심한 고통 속에서도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고백하며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습니다. 그의 나이 28세였습니다. 집행관들은 순교자들의 시신을 불태우려 했으나, 갑자기 폭풍우가 일어나 불이 꺼졌고 번개가 여러 집행관을 죽였습니다. 이 기적적인 사건으로 나탈리아는 남편의 잘린 손을 거두어 성유물로 보관할 수 있었습니다. 니코메디아의 한 군 지휘관이 젊고 부유한 나탈리아에게 청혼했지만, 그녀는 비잔티움으로 도피했습니다. 그곳에서 아드리안이 꿈에 나타나 곧 주님 안에서 쉬게 될 것이라고 말했고, 얼마 후 나탈리아는 평화롭게 선종했습니다. 두 사람은 부부 순교자의 모범으로 가톨릭 교회에서 함께 공경받고 있습니다.

성 아드리안 공경과 전승

성 아드리안은 중세 시대 북유럽에서 성 게오르지오에 버금가는 위대한 군인 성인으로 공경받았습니다. 특히 플랑드르 지방, 독일, 프랑스 북부에서 깊은 존경을 받았으며, 수많은 성당과 수도원이 그의 이름으로 봉헌되었습니다. 그는 군인, 도살업자, 감옥 간수, 간질병 환자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고 있습니다. 가톨릭 교회에서 성 아드리안의 축일은 9월 8일이며, 동방 정교회에서는 아내 나탈리아와 함께 8월 26일에 축일을 기념합니다. 성 아드리안의 성유물은 벨기에 게르트스베르겐에 안치되어 특별히 공경받고 있으며, 로마에서는 630년에 그의 이름을 딴 성당이 로마 포럼에 세워졌습니다. 성화에서 그는 주로 갑옷을 입은 군인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손에 모루를 들고 있거나 발 아래 모루가 놓여 있는 형상으로 표현됩니다. 때로는 도끼나 칼과 함께 그려지기도 하며, 이는 그의 순교 방식을 상징합니다. 중세 예술에서 성 아드리안은 용기와 신앙의 상징으로 자주 등장했으며, 특히 플랑드르 화파의 화가들이 그의 순교 장면을 즐겨 그렸습니다.

현대 신자들에게 주는 교훈

성 아드리안의 삶은 신앙의 진리가 인간의 마음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보여줍니다. 그는 그리스도교인들을 박해하는 위치에 있었지만, 순교자들의 용기와 신앙 고백을 목격하고 자신도 그리스도인이 되었습니다. 이는 진리의 증거가 얼마나 강력한 설득력을 지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직접적인 박해를 받지는 않지만, 신앙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이 여전히 어려운 상황들을 마주합니다. 직장에서, 학교에서, 사회적 관계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가치를 지키는 것이 때로는 불이익을 감수해야 하는 일이 될 수 있습니다. 성 아드리안은 자신의 지위와 명예, 부와 안전을 모두 포기하고 진리를 선택했습니다. 그의 선택은 세상적 가치보다 영원한 가치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줍니다. 또한 나탈리아의 모습은 신앙인 배우자가 서로에게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를 보여줍니다. 그녀는 남편이 고난의 길을 걸을 때 두려워하거나 말리지 않고 오히려 격려하고 함께 기도했습니다. 가톨릭 신앙에서 혼인성사는 부부가 서로를 천국으로 이끄는 동반자가 되게 하는 은총의 표징입니다. 성 아드리안과 나탈리아 부부는 이러한 혼인성사의 의미를 완벽하게 실천한 모범입니다.

역사적 시간표

연도 역사적 사건 의미
284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즉위 로마 제국 사두정치 시작, 제국 재편
286년 니코메디아가 동로마 제국 수도로 지정 비티니아 지방의 정치적 중요성 증대
303년 2월 23일 디오클레티아누스 대박해 시작 로마 제국 역사상 가장 조직적인 그리스도교 박해
303년 2월 니코메디아 대성당 파괴 박해의 상징적 시작, 성경과 전례 서적 소각
304년 3월 4일 성 아드리안과 23명의 동료 순교 니코메디아 지역 순교자들의 신앙 증거
305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퇴위 갈레리우스가 동방 황제가 되어 박해 지속
311년 갈레리우스의 관용 칙령 박해 종식의 시작, 그리스도교 묵인
313년 밀라노 칙령 반포 콘스탄티노 황제의 신앙 자유 선언
630년 로마 포럼에 성 아드리안 성당 건립 성 아드리안 공경의 서방 교회 확산

참고문헌 및 추가 정보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 가톨릭 성인 자료실 (www.cbck.or.kr)
  • 가톨릭 백과사전 - 디오클레티아누스 박해 항목
  • Butler's Lives of the Saints - 9월 8일 성 아드리안 항목
  • 로마 순교록(Martyrologium Romanum) - 공식 가톨릭 순교자 기록
  • 한국 가톨릭 대사전 - 초대 교회 순교자 관련 항목
  • Orthodox Church in America - Saints Adrian and Natalia
  • Catholic Encyclopedia - Saint Adrian of Nicomedi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