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성인과 교부

최후의 동방 교부, 성 요한 다마스쿠스의 신학적 유산

by 기쁜소식 알리기 2025. 11. 19.
반응형

이슬람 세계에서 꽃핀 기독교 신학

성 요한 다마스쿠스는 675년경 시리아의 다마스쿠스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본명은 만수르 이븐 사르준으로, 아랍어 이름을 가진 기독교인이었습니다. 당시 다마스쿠스는 이미 이슬람 우마이야 왕조의 수도였지만, 그의 가문은 기독교 신앙을 지키며 칼리프 정부에서 높은 관직을 맡고 있었습니다. 요한의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우마이야 왕조의 재무장관을 역임했으며, 요한 역시 젊은 시절 칼리프 궁정에서 행정 관료로 일했습니다. 이러한 독특한 배경은 그가 이슬람 문화와 철학을 깊이 이해하면서도 기독교 신앙을 확고히 지킬 수 있게 했습니다. 7세기 중반 이슬람의 급속한 확장으로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기독교 공동체들은 큰 위기에 직면했지만, 요한은 이러한 환경에서도 신학적 작업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그는 그리스어와 아랍어를 자유롭게 구사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교부 신학을 통합하여 체계적인 기독교 교리를 정리하는 데 헌신했습니다. 그의 교육은 이탈리아 출신의 수도자 코스마스로부터 받았는데, 이는 동방과 서방 신학 전통이 그의 사상 안에서 조화롭게 만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최후의 동방 교부, 성 요한 다마스쿠스의 신학적 유산

성화상 논쟁의 용감한 수호자

요한 다마스쿠스의 생애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은 성화상 논쟁이 발발했을 때였습니다. 726년 비잔틴 제국의 레오 3세 황제는 성화상 파괴령을 내렸습니다. 황제는 성화상 공경이 우상숭배라고 주장하며 교회의 성화상들을 파괴하도록 명령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종교적 논쟁이 아니라 황제권과 교회 권위 사이의 정치적 갈등이기도 했습니다. 많은 주교들과 수도자들이 박해를 받았고, 성화상을 지키려던 이들은 투옥되거나 순교했습니다. 이때 요한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결단을 내렸습니다. 그는 다마스쿠스에서 칼리프의 보호 아래 있었기 때문에 비잔틴 황제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지 않았고, 이를 활용하여 세 편의 강력한 호교론적 저술을 집필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형상이 아니라 형상을 통해 드러나는 원형을 공경한다"고 주장하며, 성화상이 그리스도의 강생 신비를 증거하는 정당한 수단임을 논증했습니다. 요한의 논리는 명확했습니다. 하느님께서 육체를 취하시어 보이지 않는 분이 보이게 되셨으니, 이제 우리는 그분의 형상을 그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원의 신비를 묵상할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그의 용기 있는 증언은 후대 공의회에서 성화상 공경이 정통 교리로 확립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세속 권력을 떠나 수도 생활로

성화상 논쟁이 격화되면서 요한은 더 이상 칼리프 궁정에서 일하는 것이 자신의 소명이 아님을 깨달았습니다. 730년경 그는 모든 세속적 지위와 재산을 버리고 예루살렘 근처의 마르 사바 수도원으로 들어갔습니다. 이 수도원은 5세기에 설립된 유서 깊은 곳으로, 가파른 절벽에 세워진 동굴 수도원이었습니다. 처음에 요한의 수도 생활은 순탄하지 않았습니다. 그의 영적 지도자는 그가 교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엄격하게 대했고, 심지어 그의 신학 저술을 금지하기도 했습니다. 요한은 순종의 덕을 배우며 청소와 단순 노동에 전념했습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섭리로 어느 날 한 형제 수도자가 사망했을 때, 요한은 그를 위로하는 찬미가를 작곡하도록 허락받았습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그는 다시 신학적 저술과 전례 시가 작성을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마르 사바 수도원에서 보낸 시간은 그의 가장 생산적인 시기였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불후의 명작 「정확한 신앙의 해설」을 완성했고, 수많은 전례 찬미가를 작곡했습니다. 이 찬미가들은 오늘날까지도 동방 교회의 전례에서 불리고 있으며, 서방 교회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시가는 신학적 깊이와 시적 아름다움을 완벽하게 조화시킨 걸작으로 평가받습니다.

체계적 신학의 선구자

성 요한 다마스쿠스의 가장 위대한 업적은 「정확한 신앙의 해설」입니다. 이 저작은 기독교 교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최초의 종합 신학서로, 중세 스콜라 신학의 선구자가 되었습니다. 요한은 이 책에서 삼위일체론, 그리스도론, 창조론, 인간론, 성사론 등 모든 주요 교리를 논리적으로 설명했습니다. 그의 방법론은 성경과 교부들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하되,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 논리를 활용하여 이를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13세기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실제로 아퀴나스는 「신학대전」을 집필하면서 요한 다마스쿠스의 저작을 수없이 인용했습니다. 또한 요한은 「이단에 대하여」라는 저작에서 초대 교회 시대부터 자신의 시대까지 나타난 백여 개의 이단들을 분류하고 논박했습니다. 흥미롭게도 그는 이슬람을 기독교의 이단 중 하나로 분류했는데, 이는 그가 이슬람을 단순한 타종교가 아니라 기독교 교리를 왜곡한 변종으로 이해했음을 보여줍니다. 그의 철학적 저작들도 중요한데, 특히 「변증론」에서는 논리학의 기본 원리들을 설명하여 후대 신학자들에게 사유의 도구를 제공했습니다. 요한의 신학은 동방 신학의 정점이자 마지막 위대한 종합으로 평가됩니다.

교회 박사로서의 영원한 유산

성 요한 다마스쿠스는 749년경 마르 사바 수도원에서 선종했습니다. 그의 죽음 이후 성화상 논쟁은 계속되었지만,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마침내 성화상 공경이 정통 교리로 선포되었습니다. 이 공의회는 요한의 신학적 논증을 공식적으로 채택했으며, 그를 정통 신앙의 위대한 증인으로 인정했습니다. 비잔틴 제국에서는 그를 "금언의 샘"이라는 뜻의 "크리소로아스"라고 불렀으며, 성 바실리오, 성 그레고리오와 함께 동방의 위대한 교부로 공경했습니다. 서방 교회에서도 그의 영향력은 지대했습니다. 12세기 십자군 시대에 그의 저작들이 라틴어로 번역되면서 서방 신학자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고, 곧 스콜라 신학의 필수 참고서가 되었습니다. 교황 레오 13세는 1890년 그를 교회 박사로 선포했으며, 이는 동방 교부 중 서방 교회에서 공식적으로 박사 칭호를 받은 몇 안 되는 경우 중 하나입니다. 가톨릭 교회는 12월 4일을 그의 축일로 지정하여 기념합니다. 오늘날 성 요한 다마스쿠스는 신학과 예술의 관계, 신앙과 이성의 조화, 그리고 어려운 시대에 진리를 증거하는 용기의 모범으로 우리에게 영감을 줍니다. 그의 삶은 정치적 압력과 문화적 적대 속에서도 복음의 진리를 수호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입니다.

역사적 격동기 속의 신앙 증언

성 요한 다마스쿠스가 살았던 8세기는 기독교 세계에 엄청난 변화가 일어난 시기였습니다. 632년 무함마드의 죽음 이후 불과 한 세기 만에 이슬람 제국은 아라비아 반도에서 시작하여 페르시아, 시리아, 이집트, 북아프리카, 그리고 이베리아 반도까지 정복했습니다. 한때 기독교의 중심지였던 안티오키아, 알렉산드리아, 예루살렘이 이슬람 통치 하에 들어갔고, 동방 기독교 공동체들은 딤미라 불리는 보호받는 소수자 지위로 전락했습니다. 콘스탄티노플을 수도로 하는 비잔틴 제국은 이슬람의 공세를 막아내며 기독교 문명의 최후 보루가 되었지만, 내부적으로는 성화상 논쟁으로 분열되어 있었습니다. 레오 3세와 그의 아들 콘스탄티노스 5세로 이어지는 성화상 파괴 정책은 단순한 종교적 열정이 아니라 복잡한 정치적 계산의 산물이었습니다. 황제들은 제국의 군사적 패배가 하느님의 진노 때문이며, 그 원인이 우상숭배라는 성화상 공경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수도원들이 과도한 토지와 부를 축적하는 것을 견제하려는 의도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복잡한 정치적 상황 속에서 요한 다마스쿠스는 독특한 위치를 점했습니다. 그는 이슬람 통치 지역에 살았기에 비잔틴 황제의 박해로부터 자유로웠고, 이를 통해 자유롭게 정통 신앙을 옹호할 수 있었습니다. 그의 삶은 하느님의 섭리가 어떻게 역사의 우연처럼 보이는 사건들을 통해 당신의 교회를 보호하시는지를 보여주는 놀라운 예입니다.

시대순 주요 역사적 사건

연도 사건
675년경 성 요한 다마스쿠스 시리아 다마스쿠스에서 출생
680-681년 제3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 단의론 이단 단죄
690-715년 요한, 우마이야 왕조 칼리프 궁정에서 관료로 근무
717-718년 아랍군의 콘스탄티노플 포위 공격 실패
726년 레오 3세 황제, 성화상 파괴령 발표
726-730년 요한, 성화상 옹호를 위한 세 편의 호교론 집필
730년경 마르 사바 수도원 입회, 수도자로서의 삶 시작
730-749년 「정확한 신앙의 해설」 등 주요 신학 저작 집필
749년경 성 요한 다마스쿠스 선종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화상 공경 정통 교리로 선포
1890년 교황 레오 13세, 요한 다마스쿠스를 교회 박사로 선포

참고 문헌 및 사이트

  • 한국천주교주교회의, 「한국 가톨릭 대사전」, 한국교회사연구소
  • 가톨릭 성인 전기 - www.cbck.or.kr (한국천주교주교회의 공식 홈페이지)
  • 성 요한 다마스쿠스, 「정확한 신앙의 해설」, 분도출판사
  • Louth, Andrew, 「St John Damascene: Tradition and Originality in Byzantine Th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 Sahas, Daniel J., 「John of Damascus on Islam」, Brill, 1972
  • Catholic Encyclopedia - www.newadvent.org
  • 바티칸 공식 홈페이지 교회 박사 자료 - www.vatican.va
  • Quasten, J., 「Patrology Vol. 4」, Christian Classics
반응형